제1회 | 교회법 연구와 대안 제시 | 제2회 | 교회법치주의와 권징재판 |
---|---|---|---|
제3회 | 목회자의 지위와 목회 승계의 법적 문제 | 제4회 | 교회분쟁시 법률관계 연구 |
제5회 | 교회분열과 교단탈퇴 | 제6회 | 교회와 국가 |
제7회 | 교회 정관의 법적 문제 | 제8회 | 교회법 비교 연구 |
제9회 | 교회재산과 신탁 | 제10회 | 교회와 국가 |
제11회 | 종교적 저작물과 지식재산권 | 제12회 | 교회재판과 교회분쟁해결 |
제13회 | 한국교회의 당면 과제와 법적문제 | 제14회 | 한국교회의 당면 과제와 법적대응 |
제15회 | 주요교단 헌법개정 현황과 문제점 | 제16회 | 종교인 소득과세 내용과 문제점 |
제17회 | 교회와 목사의 법률관계 | 제18회 | 현대목회자의 법 의식과 신앙고백 |
제19회 | 종교적 비판과 명예훼손 | 제20회 | 교회·교단분쟁과 국가재판의 역할 |
제21회 | 개헌논의와 한국교회 | 제22회 | 헌법재판과 한국교회 |
제23회 | 교의 자유와 기독교 | 제24회 | 항존직의 임기제와 신임투표제 |
제25회 | 코로나 사태와 한국교회의 법적 과제 | 제26회 | 기독교계 종립학교와 종교교육의 자유 |
제27회 | 건강 가정의 회복과 교회 | 제28회 | 종교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과 법 |
제29회 | 종교인과세 시행5년 평가와 과제 | 제30회 | 생명윤리와 기독교 |
제31회 | 기독교사학의 자율성 회복 | 제32회 | 교회 부교역자의 지위와 역할 |
제33회 | 인공지능(AI) 시대의 교회와 법 | 제34회 | 교회의 국가사회에 대한 기여와 전문선교의 과제 |
제35회 | 자유민주주의와 기독교 |